2025년 운동 목표 세우는 방법

Date
2025/01/01
Category
운동 부스터
1 more property
새해가 되면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다짐과 함께 운동 목표를 세우게 됩니다. 누구나 건강한 삶과 강한 체력을 꿈꾸기 때문이죠.
특히 새해는 한 해의 시작을 알리기 때문에 새로운 마음 가짐을 갖기 아주 좋은 시기입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새로운 시작 효과(Fresh Start Effect)"라고 이야기하는데요. 과거의 나를 되돌아보고, 더 나은 미래의 위해 동기를 부여하도록 돕는다고 합니다.
초기 열정만으로는 목표를 유지하기 어렵지만, 과학적으로 검증된 방법으로 접근한다면 충분히 원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거예요.

장기 목표에 가장 중요한 건 ‘이것’

많은 사람들이 작은 행동이나 구체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춘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하지만,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는데에는 어울리지 않을 수 있어요. 이때 추천하는 것이 바로 '목표 계층 구조’ 인데요. 여기에는 상위(superordinate), 중간(intermediate), 하위(subordinate) 목표로 나뉩니다.
1.
상위 목표
가장 추상적이고 이상적인 목표로, 자신의 가치와 정체성을 반영합니다.
2.
중간 목표
상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방향을 설정해봅니다. 건강해지기 위한 행동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나열하는거죠.
3.
하위 목표
중간 목표를 명확하게 실천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행동을 위한 목표입니다. 바로 행동할 수 있는 작은 것부터 세우는게 좋아요.
예시와 같이 목표를 세운다면 단순히 "해야 하는 일"이 아닌 "내가 이루고 싶은 삶의 모습"으로 목표를 크게 바라볼 수 있어요. 이를 통해 목표 달성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작은 성취가 쌓여 큰 만족감으로 이어지도록 만들어줍니다.
혹시…목표를 세우기 귀찮아지셨나요? 이런 분들을 위해 각 타입에 맞는 목표 세우기 팁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집중해주세요!

여유를 좋아하는 타입이라면

1.
유연한 목표 세우기
현실적이고 실행하기 부담스럽지 않은 목표를 세워봅니다. 만약 목표 달성에 실패하더라도 좌절하지 않고 목표를 수정하면 되죠!
2.
과정 중심의 목표 세우기
‘상위 목표’만을 성공 지표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하위 목표’ 달성을 통해 성취를 쌓는다면 행동을 지속할 수 있는 동기를 갖기에 보다 효과적입니다.
3.
새로운 활동에 도전하는 목표 세우기
새 기술을 배우거나 기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면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실수를 하더라도 성장의 일부로 받아들이도록 노력할 수 있죠!

정해진 틀을 좋아하는 타입이라면

1.
상황&행동 매칭 시켜서 목표 세우기
"만약 ~하면, 나는 ~할 것이다" 형식을 사용해 구체적인 상황과 행동을 계획합니다.
2.
당근&채찍 목표 세우기
하기 싫은 행동을 내가 좋아하는 행동을 섞어 동시에 한다면 동기를 강화하는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3.
갑작스러운 변수 대응하기
예상치 못한 장애물에 대비해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여 목표를 위한 행동이 멈추지 않도록 돕습니다.

제일 중요한건 부상없이, 즐겁게!

새해의 시작은 새로운 시도를 하기 아주 좋은 타이밍이죠. 하지만 열정만으로는 성공할 수는 없습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린 목표 세우기 방법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설정한다면, 단순한 결심이 아닌 지속 가능한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을거예요.
또한, 목표 달성을 위해 무리하지 않고 건강한 운동 생활을 즐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올해는 단순히 시작에 그치지 않고 진정한 성취의 해로 만들 수 있도록 번핏이 열심히 돕겠습니다!